안녕하세요. 채소입니다.
외부 강의 때마다, '인공지능보다 우리' 라는 메세지를 통해 결국 '공공재인 우리를 돕는 인공지능이 등장 또는 공급, 제공될 것이고, 우리는 우리를 인공지능이 잘 돕게하기 위해 그를 위한 데이터를 모아야 또는 모아두어야 한다' 라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그런 시대가 다가오고 있는 듯 합니다.
최근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에서 공공부문이 초거대 AI 도입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발표했네요.
자료는 쉽고 간결합니다. 한번쯤 살펴 보셔도 좋겠습니다.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 공공부문 초거대 AI 서비스의 유형별* 다양한 활용사례 제시
*①질의응답, ②분석‧활용, ③문서작성, ④기획‧창작, ⑤상담지원, ⑥서비스 처리
: 초거대 AI 도입·활용 절차와 각 단계별로 공공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제시
대통령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 이하 ‘디플정위’)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진흥원’)과 함께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초거대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이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초거대AI를 행정업무와 공공서비스에 적용하는 다양한 활용사례와 초거대 AI를 도입·활용할 때 고려할 사항을 담고 있다. 또한, 디플정위 산하에 만들어진 ‘초거대 공공AI TF’를 통해 국내 최고 AI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집대성한 만큼 공공부문의 담당자에게 유용한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이드라인은 디플정위(www.dpg.go.kr)와 진흥원 누리집(www.nia.or.kr)에서 상시 확인 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은 ‘개요’, ‘초거대 AI 기술 및 사례’, ‘초거대 AI 도입절차’ 등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개요’에서는 초거대 AI 기술과 국내 시장동향 및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대해 안내하였고, 제2장 ‘초거대 AI 기술 및 사례’에서는 현재 공공부문에서 가장 애로사항인 초거대 AI 사업 계획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6개의 서비스 유형별로 다양한 활용사례들을 제시함으로써 공공부문 담당자들이 초거대언어모델(LLM) 등 신기술을 어떤 업무에 어떤 식으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를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 6개 서비스 유형별 공공부문 초거대 AI 활용사례 예시 >
서비스 유형 | 활용사례 예시 |
①질의 응답 | 철도 등 안전관리에 필요한 최신 안전 가이드라인 등의 내용을 해당 사이트의 상세 메뉴를 찾아 들어가지 않고 신속히 검색 |
②분석・활용 | 다양한 보고서에 포함된 이종의 데이터(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 포함)를 자연어 질의만으로 수집·분석·가공하여 시계열 추세 등 새로운 데이터 생성 |
③문서 작성 | 보도자료, 사업계획서 등 주기적으로 작성하거나 유사한 형식의 문서 초안을 자동으로 작성 |
④기획・창작 | 간단한 키워드나 스케치 입력만으로 기획자의 의도에 맞게 홍보 포스터, 카피라이트 문구 등을 창작 |
⑤상담 지원 | 민원인과의 상담 내용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예상 답변 초안을 미리 생성하고 관련 규정 등의 출처 제공 |
⑥서비스 처리 | 단속 카메라가 불법 주정차 차량을 인식하면 초거대 AI가 벌금고지서 발급 등 추후 절차 서비스에 자동으로 연계·처리 |
그리고 제3장에서는 초거대언어모델(LLM) 유형 결정 등을 포함한 AI 도입‧활용의 전 과정에 걸쳐 추진 절차*와 각 단계별로 공공부문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체크리스트 형태로 제시하였다.
* 도입업무(데이터) 보안등급 검토→ 클라우드 구성방안 검토→ 데이터 학습방식에 따른 LLM 유형 결정→ 서비스 도입방식 결정→ 서비스 레벨 목표 검토→ 유지보수 및 운영방식 검토
향후 디플정위는 최신 기술동향, 현재 개선방안을 논의 중인 정부의 망 보안정책, 공공부문의 활용사례 등을 반영하여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수정·보완해나갈 예정이며, 가이드라인과 연계하여 공공부문에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디플정위는 공공부문의 초거대AI 활용 성공사례를 확대 창출하기 위해 ‘초거대AI 활용 지원 사업’도 추진 중이다. 올해는 작년에 비해 사업예산이 5배이상 확대(‘23년 20억원 → ‘24년 110억원)되어 다양한 공공분야에서 성공사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각 기관에서 해당 사업을 수행할 때 가이드라인이 실용적인 안내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진 위원장은 “위원회는 앞으로도 공공부문이 초거대 AI를 효과적으로 도입‧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수단을 개발해서 제공할 것”이라며, 아울러 “국민의 일상과 행정 전반에서 민간의 AI기술 활용이 활성화되고 정책체감도가 더욱 제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새소식>보도자료 상세 (dpg.go.kr)